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즐거운 생활/현명하게 소비하기2

2025년 온누리 상품권 완벽 가이드: 종류, 구매법, 사용처까지 총정리 작년에 걸어서 10분 정도 거리에 재래시장이 있는 곳으로 이사를 했다. 여행을 가더라도 시장구경하는 것을 좋아하는지라 이사한 뒤 매일 그 시장에 구경을 갔다. 채소나 과일은 그 어떤 마트보다도 저렴했고, 붕어빵도 천 원에 3개라는 믿지 못할 가격이었다. 그렇게 뻔질나게 시장을 드나들다 보니 온누리 상품권을 알게 되었고, 시장에서는 온누리 상품권으로 결제하는 것이 가장 이득이라는 것을 깨달았다. 온누리 상품권은 평소에는 10%, 명절과 같은 때에는 이벤트처럼 15%까지 할인해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. 시장의 저렴한 가격에, 온누리 상품권으로 10~15% 정도 할인까지 적용받는다니 온누리 상품권을 이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. 물론 시장과 별로 가깝지 않은 곳에 살 때는 나도 귀찮게 뭐 그런 걸 쓰냐라고.. 2025. 4. 4.
관리비 아껴볼까? 다양한 에너지 캐시백 신청하기 내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더니... 나날이 상승하는 시장물가, 공공요금, 교통비, 세금 등으로 인해 시름이 깊어간다. 가족수가 늘어난 것도 아니고 전기며 물이며 낭비하지 않는데도 몇 년 전과 비교하면 관리비가 몇 만원은 더 올라갔다. 관리비 할인해 주는 카드를 써볼까도 생각했지만, 전월실적 등 사용조건이 꽤 까다롭고 이미 이런저런 이유로 사용 중인 카드가 많아 여의치가 않다. 하지만  '두드리는 자에게 문이 열린다'는 말처럼 여러 방면으로 검색해보니 관리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여럿 있었다. 물론 그냥 가만히 있어서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, 직접 신청을 해야 하고 에너지 절약을 실천해야 하는 등 어느 정도 수치로 보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. 되든 안되든 해보자는 심정으로 신청했던 에너지 캐시백 .. 2025. 3. 24.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