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국내 지수 ETF란?
국내 주식시장(KOSPI, KOSDAQ 등)의 주요 지수를 따라가는 ETF로, 개별 종목을 사지 않고도 국내 증시에 자동 분산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다. ETF는 여러 종목을 한 상품에 담고 있어 개별 종목을 사는 것보다 리스크 분산 효과가 있다.
2. 대표적인 국내 지수 ETF 비교
1) 코스피 200 ETF (대형주 중심)
- KOSPI 200 지수를 추종 (삼성전자, SK하이닉스, 현대차, 네이버 등 200개 대형주 포함)
- 한국 대표 기업에 투자하는 효과
♣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주요 ETF 비교 (2025년 2월 기준)♣
ETF명 | 운용사 | 운용보수 (연) |
배당지급시기 | 최근 배당금 (1주당) (25년1월 기준) |
순자산 (25년2월 기준) |
특 징 |
KODEX 200 | 삼성자산운용 | 0.15% | 분기별 (1, 4, 7, 10월 마지막 영업일) |
110원 |
62,104.57억원 | 운용규모나 거래대금이 가장 큰 대표 ETF |
TIGER 200 | 미래에셋 자산운용 |
0.05% | 분기별 (1, 4, 7, 10월 마지막 영업일) |
210원 | 21,569.84억원 |
운용규모나 거래대금에서 2위 최근 3년 수익률이 가장 높음(4.75%) |
RISE 200 | KB자산운용 | 0.017% | 분기별 (1, 4, 7, 10월 마지막 영업일) |
100원 | 11,243.28억원 | 매우 낮은 운용 보수 운용규모나 거래대금에서 3위 |
PLUS 200 | 한화자산운용 | 0.017% | 분기별 (1, 4, 7, 10월 마지막 영업일) |
80원 | 6,596.05억원 |
매우 낮은 운용 보수 |
ACE 200 | 한국투자 신탁운용 |
0.09% | 연1회 | 670원 (24년4월) |
4,509.63억원 |
타 ETF와 달리 연1회 배당지급 |
HANARO 200 | NH아문디 자산운용 |
0.036% | 분기별 (1, 4, 7, 10월 마지막 영업일) |
110원 | 3,901.33억원 |
- |
*투자 시에는 운용 보수, 배당 정책, 수익률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신의 투자 목적과 전략에 맞는 ETF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
2) KOSDAQ 150 ETF (성장주 중심)
- KOSDAQ 150 지수를 추종 (카카오게임즈, 셀트리온헬스케어, CJ ENM 등 포함)
- 코스닥 성장주에 투자하는 효과
♣ KOSDAQ 150 지수를 추종하는 주요 ETF ♣
ETF명 | 운용사 | 운용보수(연) | 배당지급시기 | 최근배당금 (1주당) (24년4월기준) |
순자산 | 특징 |
KODEX 코스닥150 | 삼성자산운용 | 0.25% | 연1회 | 20원 | 11,944.61억원 |
운용규모나 거래대금이 가장 큰 대표 ETF |
TIGER 코스닥150 | 미래에셋 자산운용 |
0.19% | 연1회 | 38원 |
1214.12억원 | 운용규모나 거래대금에서 2위 |
RISE 코스닥150 | KB자산운용 | 0.18% | 연1회 | 10원 | 997.14억원 | 운용규모나 거래대금에서 3위 |
PLUS 코스닥 150 | 한화자산운용 | 0.15% | 연1회 | 15원 | 53.22억원 | 비교적 낮은 운용보수 |
ACE 코스닥 150 | 한국투자 신탁운용 |
0.02% | 연1회 | 40원 | 238.96억원 | 가장 낮은 운용 보수 최근 3년 가장 높은 수익률(11.43%) |
SOL 코스닥150 | 신한자산운용 | 0.15% | 연1회 | 18원 | 248.18억원 | 비교적 낮은 운용보수 |
*모든 상품이 코스닥150 지수를 추종하므로 포함하는 구성종목은 동일할 수 있으나, 그 비율은 상이할 수 있음.
*투자 시에는 운용 보수, 배당 정책, 유동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신의 투자 목적과 전략에 맞는 ETF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
3) 고배당 ETF (배당주 관심 있다면)
- 삼성전자, 현대차, KT&G 같은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 중심 투자
- 시세 차익 + 배당 수익 기대 가능
♣ 주요 고배당 ETF 비교 ♣
ETF명 | 운용사 | 운용보수(연) | 배당지급시기 | 최근배당금 (1주당) (25년1월) |
순자산 | 특징 |
KODEX 고배당 | 삼성자산운용 | 0.3% | 월1회 | 30원 | 378.64억원 | 국내 고배당주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ETF 월배당 |
HANARO 고배당 | NH아문디 자산운용 |
0.25% | 분기별 (1, 4, 7, 10월 마지막 영업일) |
55원 | 75.93억원 | - |
PLUS 고배당주 | 한화자산운용 | 0.23% | 월1회 | 63원 | 5,366.64억원 | 운용규모나 거래대금이 가장 큰 대표 ETF 최근 3년 가장 높은 수익률(45.73%) 월배당 |
RISE 고배당 | KB자산운용 | 0.20% | 연3회 | 90원 | 610.51억원 | 비교적 낮은 운용보수 |
TIGER 코스피 고배당 | 미래에셋 자산운용 |
0.29% | 연3회 | 38원 | 236.33억원 | 코스피 고배당 50 지수 추종 |
4) 레버리지 & 인버스 ETF (고위험)
- 레버리지 ETF → 코스피 200, 코스닥 150 지수가 상승할 때 2배 수익 (하락할 때는 2배 손실)
- 인버스 ETF →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 (곱버스는 2배 하락)
♣ 주요 레버리지&인버스 ETF 비교 ♣
ETF명 | 운용사 | 운용보수 (연) |
수익률 (최근3개월) |
수익률 (최근6개월) |
순자산 | 특징 |
KODEX 200선물인버스2X | 삼성자산운용 | 0.64% | -10.31% | 8.75% | 13,830.82억원 | 코스피 200 선물 지수 하락 시 2배 수익(일명 곱버스) |
TIGER 200선물레버리지 | 미래에셋 자산운용 |
0.022% | 8.86% | -12.73% | 795.45억원 | 코스피 200 지수 상승 시 2배 수익. 운용보수가 매우 낮은 편 |
KODEX 레버리지 | 삼성자산운용 | 0.64% | 9.22% | -12.31% | 21,741.27억원 | 코스피 200 지수 일일 변동률을 2배로 추종(상승하면 2배 상승, 하락하면 2배 하락) |
RISE 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 | KB자산운용 | 0.6% | 28.85% | -3.60% | 864.28억원 | 코스닥150 지수 상승 시 2배 수익 |
RISE 2차전지 TOP10 인버스(합성) | KB자산운용 | 0.49% | -0.94% | 4.42% | 1,127.29억원 | 2차전지 관련 TOP10종목 지수를 추종 지수 하락 시 1배의 수익 추구 (지수 상승 시 손실 발생) *합성: 선물, 옵션 등 파생상품을 활용하여 기초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지수 추적을 하는 방식 |
※ 레버리지 & 인버스 ETF는 변동성이 크므로 단기 투자로 해야 하며 장기 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음(분배금 없음).
잘 투자하면 수익이 큰 반면, 잘못 투자하면 손실도 크므로 주의해야 함.
3. 국내 지수 ETF 투자 방법
1) 국내 증권사 계좌 개설
- 국내 주식 계좌 있으면 바로 거래 가능 (해외 ETF보다 쉽고 수수료 저렴)
2) 투자할 ETF 선택
- 안정적인 장기 투자(5~10년 이상) → KOSPI 200 ETF
- 성장주 투자 → KOSDAQ 150 ETF
- 배당 + 안정성 추구 → 고배당 ETF
- 단기 트레이딩 → 레버리지 & 인버스 ETF
3) 분할 매수 & 장기 투자 추천
- ETF도 주식처럼 가격 변동이 있음 → 분할 매수 하는 것이 안전함
- KOSPI 200 ETF는 장기 투자하기 좋은 상품 (장기적으로 한국 경제가 성장하면 자연스럽게 상승)
4. 국내 지수 ETF 투자 시 주의할 점
▶ ETF 가격도 변동성이 있음
- 주가 하락 시 ETF 가격도 떨어질 수 있음 → 장기적 관점 필요
▶ 레버리지 & 인버스 ETF는 장기 투자 ❌
- 매일 가격이 조정되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손실 가능성 큼
- 단기 트레이딩 목적으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하며, 주식초보의 경우는 투자 추천하지 않음
▶ 한국 증시는 미국보다 변동성이 큼
- 외국인 투자자의 매매 영향이 크기 때문에 단기 변동성이 크다는 점 고려
*투자 시에는 운용 보수, 배당 정책, 유동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신의 투자 목적과 전략에 맞는 ETF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새로운 주식 거래 시스템 "대체거래소(ATS)"란? - 쉽게 알아보기 (3) | 2025.03.05 |
---|---|
[부동산기초]재개발 입주권과 분양권에 대해서(2) (0) | 2025.03.04 |
미국지수 ETF 투자의 기초 (0) | 2025.02.24 |
[부동산기초]재개발 입주권과 분양권에 대해서(1) (0) | 2025.02.21 |
[재테크기초] 양도소득세 셀프신고하기 (1) | 2025.02.21 |